This jam is now over. It ran from 2025-05-28 11:00:00 to 2025-06-01 17:00:00. View 5 entries
게임개발 분야 평가 방식
최마진 게임개발 분야의 평가는 루키 부문과 프로 부문으로 나눠서 진행됩니다.
[루키 부문]
루키 부문은 게임개발이 아직 익숙하지 않을 부트캠프를 수강생이나, 신입부원들만 참여 가능합니다. 기존 부원들이나 이미 게임 개발이 능숙한 분들과 같이 평가될 시 초보 분들은 상을 받기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두 부문으로 나누어 평가하게 되었습니다.
(루키 부문에 참가했더라도, 총 점이 다른 프로 부문 게임들 보다 높을 경우 프로 부문 수상이 가능합니다.)
제출된 게임들은 아래 세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정해진 심사위원들에 의해 평가됩니다.
기준마다 0~5점 사이의 점수를 메기고 각 기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한 게임 3개에게 그 기준에 해당하는 상을 받습니다. (독창성 상, 완성도 상, 재미 상)
만약 동점이 나올 경우 다른 기준 점수도 포함한 종합 점수를 비교하여 더 높을 쪽을 선발할 것이며, 이 마저도 같을 경우 공동 수상하게 됩니다.
[프로 부문]
프로 부문은 기존 부원들과 이미 게임개발에 어느정도 능숙하신 분들도 포함하여, 소속 부 상관없이 HeXA의 모든 부원이 참여 가능한 부문입니다. 평가는 위에 적힌 [루키 부분]과 비슷하게 진행되지만, 상은 총 점이 가장 높은 한 분에게만 드립니다. (대상)
(루키 부문에 참가했더라도, 총 점이 다른 프로 부문 게임들 보다 높을 경우 프로 부문 수상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중복 수상을 불가능합니다. 만약 루키 부문 참가자가 대상을 받았는데 독창성 점수가 가장 높을 경우, 독창성 상은 그 다음으로 점수가 높은 사람이 받게 됩니다.

기획서 관련 추가 설명
대부분은 기획서를 써보는게 처음일 것이므로, 무엇을 적으면 좋을지 적어 보겠습니다.
1. 게임의 목표, 게임의 승리 조건
ex ) 가장 큰 물고기를 잡는 것이 목표! 모든 깃발을 모으는 것이 목표! 몰려오는 모든 적을 물리치는 것이 목표! 등등
2. 게임의 핵심 플레이 기능
ex ) 알맞은 타이밍에 버튼을 눌러야 물고기가 잡힌다! 퍼즐을 해결해야 깃발을 얻을 수 있다!(퍼즐 기능에 대한 추가 설명 필요) 적을 물리치는 방법 (무기, 도구, 함정 등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
3. 플레이어가 할 수 있는 모든 상호작용들
ex ) 모험을 하는 게임이라면, 이동 방법에 대한 설명, 주변 물체와 상호작용하는 방법 등등 FPS 또는 슈팅 게임이라면, 물체를 발사하는 방식, 방법에 대한 설명, 무기 변경 기능, 장전 기능 등등
기획서를 작성하면서 주의할 점은 하나의 컨셉(concept)을 최대한 잘 쪼기 놔야 한다는 것입니다.
(마치 프로그램을 짤 때, 단계를 잘 구분하듯이)
EXAMPLE! Not Recommended: 낚시를 한다 (너무 추상적이에요.)
Recommended: 타이밍에 맞춰(**Interaction의 logic 설명**) 클릭 또는 버튼(**User Input 명시**)을 눌러 랜덤한 물고기(**gameObject 명시**)를 얻기
https://www.notion.so/Immortal-Suffering-19d86d28e9a8807abaedfb6fb8d3eddd
위 노션 페이지는 제가 작성한 게임 기획서의 간단한 예시입니다.
꼭 똑같으실 필요는 없고 자신의 게임이 가지고 있는 재미를 표현할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기획서란 자신이 상상하는 게임의 이미지를 글로 표현하여 다른 이들도 자신의 생각과 비슷한 게임을 떠올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아무리 재미있는 게임을 구상해내었다 하더라도 기획서를 잘 작성하지 못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그 재미가 전달하지 않는다면, 좋은 게임을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기획서가 잘 뽑힌다면, 게임을 완성하지 못했을 지라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희가 제출해야 할 것으로 기획서를 요구한 것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최마진 기간이 촉박하다 보니 게임을 완성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저희는 다양한 게임이 만들어지는 것을 원하는 것이지, 공장처럼 게임을 찍어내는 것을 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부담 같지 마시고 게임을 만든다는 행위 그 자체와 다른 사람들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들을 즐겨 주셨으면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No submissions match your filter